2025.04.29 (화)

경기도청

경기도 젠더폭력통합대응단 출범 1년…상담부터 주거지원까지 5만4천여건 원스톱 지원

’26년 피해자 접근성 제고를 위해 통합대응단 북부거점 설립 예정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젠더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체계인 ‘경기도 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 출범 1주년을 맞았다. 대응단은 365일 24시간 언제나, 연령·성별에 상관없이 젠더폭력 피해자들이 온전한 일상을 회복하도록 지난 1년간 5만4,405건을 원스톱 지원했다.

 

‘젠더폭력’은 물리적·환경적·구조적 힘의 불균형으로 비롯되는 가정폭력, 성폭력, 디지털성범죄, 스토킹, 교제폭력 등 모든 성적 폭력행위를 의미한다.

 

젠더폭력대응단은 ‘피해자 중심의 지원체계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라는 고민에서 기존의 ▲1366경기센터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 ▲스토킹·교제폭력 피해대응센터 ▲아동청소년 성착취 피해 대응센터를 통합해 지난해 4월 30일 출범했다.

 

그동안 피해접수, 상담, 법률, 심리치료, 주거 지원 등이 모두 개별적으로 이뤄져 피해자들은 수차례 피해사실을 이야기하고 신청서를 제출하는 불편을 겪었다. 또한 지역별, 분야별로 관할이나 예산이 분리돼 있어 해당 시군에 거주하지 않으면 대상이 되지 않아 지원받지 못했다.

 

젠더폭력통합대응단은 이러한 칸막이를 최소화해 사각지대에 놓인 피해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도내 피해자 지원기관 111개소를 연계·조정해 이들이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상담·지원 등이 유기적이고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관리했다.

 

시군에는 가정폭력․성폭력 공동대응 체계인 ‘바로희망팀’을 구성해, 담당 공무원, 경찰관, 상담사, 사회복지사가 하나의 팀으로 112 신고 접수단계부터 모든 지원 예산을 공유해 피해자를 지원했다.

 

장애아동을 양육하던 피해자가 남편의 가정폭력으로 생계 도움을 요청한 사건에서 긴급 복지예산으로 이사비, 주택지원, 자녀 장학금 등을 지원한 건은 사각지대에 놓인 피해자를 지원한 대표적 사례다.

 

젠더폭력통합대응단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젠더폭력 피해자 2만2,628명에게 상담, 심리치료, 법률, 주거지원 등 총 5만4,405건의 원스톱 서비스를 지원했다. 출범 이후 디지털성범죄 피해영상 모니터링, 삭제 등의 지원 건수는 기존 센터 운영과 비교해 월평균 1만6,371건에서 4만7,349건으로 증가했고, 스토킹·교제폭력 피해에 대한 지원은 월평균 21건에서 193건으로 대폭 늘었다.

 

신종 젠더폭력으로 지원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거나, 행정상 예산소진 또는 지역제한 등의 사유로 그동안 지원이 불가능했던 법제도 사각지대에 놓인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300건, 심리·의료·생계 등 여러 분야로 나눠져 일부만 지원받을 수 있었던 복합 피해에 대한 지원이 117건 이뤄졌다.

 

사후적 피해 회복뿐 아니라 사전 예방을 위해 도민대상 젠더폭력 예방교육을 116회 실시하고, 도민예방단 89명을 위촉해 일상 속의 성범죄 의심 콘텐츠 감시와 인식개선 활동도 펼쳤다.

 

피해자 지원 서비스 이용 접근성도 높였다. 피해자가 이용할 수 있는 안심숙소를 12개에서 18개로 확대했으며, 365일 24시간 누리소통망(SNS)메신저 상담 등이 가능한 핫라인 전화를 개설했다.

 

도는 내년부터 경기북부지역 피해자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젠더폭력 통합대응단 북부거점을 운영할 예정이다. 북부거점은 현장대응 가능한 상담인원을 상시 배치하고, 지역협력 상담사들과 연계해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윤영미 여성가족국장은 “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 1년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한 것은 일선의 상담 직원들이 피해자와 동행한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젠더폭력통합대응단의 모든 구성원들은 피해자의 입장에서 동감하고 소통해 피해자가 빠르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더보기

섹션별 BE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