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국내 공공도서관 최초로 AI 기반 창작·체험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기도서관이 영상·문서·이미지 제작, 독서·학습 프로그램 등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도민들의 이용을 당부했다.
먼저 경기도서관의 대표 공간인 AI 스튜디오는 만 18세 이상 회원을 대상으로 20종 이상 유료 AI 툴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용자는 도서관 방문 후 좌석을 예약해 ChatGPT(챗지피티) 5, Gemini(제미나이) 2.5 Flash, Imagen(이마젠) 4, Runway Gen-4 Turbo(런웨이 젠4 터보) 등 최신 AI 모델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AI 스튜디오는 지하 1층에 위치하며, 이용 시간은 기본 좌석 1시간, 집중 공간 좌석 2시간이다. 대기자가 없는 경우 최대 1시간 연장할 수 있다.
어린이를 위한 ‘AI 마음그림×책’은 아이가 그린 그림을 AI가 분석하고 결과에 맞는 도서를 추천해 주는 독서치유 기반 서비스다. 이용 연령은 만 5세부터 만 12세까지이며, 5층 AI 북테라피에 보호자 동반 방문 시 이용 가능하다.
책을 읽고 난 후 생각을 더 나누고 싶거나 확장된 사고를 경험하고 싶을 때, 새로운 방식과 서비스에 호기심이 많다면 AI와 함께하는 새로운 독서경험 ‘AI 독서토론’을 추천한다. ‘AI 독서토론’은 AI가 학습한 책을 이용자가 읽은 다음 독서지도사의 현장 진행 아래 AI가 제안하고 분석한 내용을 참고하며 토론하는 방식이다. 찬반으로 팀을 구성하면 AI가 관련 질문을 생성하며, 참여자들의 발언을 분석해 토론을 이끈다. AI 독서토론은 월 2회 경기도서관 누리집에서 선착순 예약을 통해 이용자를 모집하며, 도서관 지하 1층에서 진행된다.
도서관 2층 세계친구 책 마을에선 퀴즈를 내는 로봇을 찾을 수 있다. ‘AI 도서퀴즈’는 저작권이 만료된 고전 작품을 중심으로 퀴즈를 제공한다. 퀴즈 로봇이 띄우는 화면에서 이용자가 읽은 고전 책과 퀴즈 난이도를 택해 문제를 풀면 된다.
이 밖에도 경기도서관은 도민의 AI 리터러시(문해력) 강화를 위해 ‘AI 스쿨’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9일에는 성균관대학교 최재붕 교수 초청 AI 인사이트 강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윤명희 경기도서관장은 “경기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는 공간을 넘어서, 누구나 쉽게 AI를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창의 거점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서관은 올해 말까지 시범적으로 휴관일 없는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오전 10시부터 밤 9시까지, 토요일과 일요일 주말은 오전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대출 반납과 자료 이용이 가능하다. 단, AI스튜디오를 비롯한 창작체험 서비스의 경우 월요일은 운영하지 않으며,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