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산성 둘레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조선 선비들은 유람길마다 시 한 수를 남겼다지요. 이곳이 사방이 트여 시 한 수 어떠세요?
돈키: 그래, 곳곳에 기행시와 서체, 무용담이 전해오지. 그게 다 인생길의 멋 아니겠느냐.
<독산성에서>
한걸음 두걸음 머언 발길들
불어라 들바람 고개 너머로
금암리 선인들 머문 쉼터에
천년의 고인돌 고요 하구나
진달래 개나리 고운 몸단장
독산성 둘레길 노을이 지면
솔숲에 울리는 말울음 소리
그 이름 부르니 세마대로세
꽃뫼에 서린 애끊는 사부곡
화산뜰 감도는 황구지 물길
오신 곳 어느 뫼 어데로 가나
노을속 홀로 걷는 나그네여
달뜨는 밤이면 고향 가려나
눈감아 달려도 마음이 앞서
꿈엔들 잊으리오 내 고향 땅
죽미령 눈물꽃 젊은 넋이여
사방에 뻗어난 너른 큰길에
뜻세워 글읽는 배움터 불빛
어제를 돋우어 내일을 여니
온세상 밝혀 갈 등불이로세
—--졸저<한반도소나타>에서
호새: 돈키님, 이쯤이면 김삿갓 선생 못지않은 예인 아니겠소?
돈키: 글쎄, 주변 환경을 알면 누구나 한생각 들어설게야. 어찌 세상사가 제 뜻대로만 되더냐. “황하지수천상래…. 조여청사모성설…”을 인생을 노래한 청련거사 이백이나 방랑 시인 난고 김병연이 다 그런 게야.
호새: “스쳐 가는 청춘, 훌쩍 가버린 세월 백년도 힘든 것을 천년을 살 것처럼” 나훈아 선생 노래도 참 맛나더이다.
돈키: 임마, 얼마나 살았다고, 그러니 두 눈뜨고 살아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