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에버뉴스 오명숙 기자 ] 광주광역시는 여름철 레지오넬라증 감염예방을 위해 이달부터 9월까지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레지오넬라균 환경검사’를 집중 실시한다.
이번 검사는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는 레지오넬라증 조기 차단과 함께 오는 9월 개최되는 ‘광주2025현대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관련 시설 사전 점검을 통해 지역사회 감염병 전파 방지를 위한 선제적 조치다.
검사 대상은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경기장과 숙박시설 등 관련 시설 16개소를 포함해 종합병원, 노인복지시설 등 감염 취약 고위험시설, 백화점·대형건물·목욕탕 등 시민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 등으로 총 183개소다.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제3급 급성 호흡기감염병으로, 오염된 물에서 증식한 레지오넬라균이 작은 물방울 입자 형태로 공기 중으로 나와 호흡기를 통해 흡입돼 폐렴과 독감을 일으킨다.
대형 건물의 냉각탑‧급수시설 등에서 주로 발생하고 냉방기 사용이 급증하는 하절기에 환자 발생이 집중된다.
건강한 사람은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더라도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다가 특별한 치료 없이 일주일 내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50세 이상‧만성질환자‧면역저하자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의 경우 감염 후 숨가쁨 증상과 함께 호흡 곤란 등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번 집중검사는 보건소에서 다중이용시설 대상 환경검체를 채취하고,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준치 이상 검출되면 해당 시설에 청소·소독을 안내하고 최소 48시간 경과 후 재검사를 통해 조치 효과를 확인할 방침이다.
강윤선 공공보건의료과장은 “레지오넬라증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비교적 가볍게 지나갈 수 있는 감염병이지만, 고위험군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다”며 “각 시설 관리자들은 냉각탑과 급수시설의 주기적인 청소와 소독 등 철저한 위생관리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해 광주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레지오넬라 오염도 조사 결과, 총 643건 중 58건(9.0%)에서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됐다.
주요 발생 시설은 냉각탑(20.8%), 온수공급시설(11.9%)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