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폭을 날리며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돈키: “낙동강 강바람에 치마폭을 날리며~”
호새: 뭔 치마폭이래요? 요즘은 핑크색 머플러가 날려야죠. 옛날 낙동강이 아니잖아요.
돈키: 그래도 바람에 절로 마음이 동하잖아. 노래로만 스쳐갈 강이 아니지. 뭐부터 얘기할까?
호새: 길이가 531킬로라면서요? 대한민국 1위, 한반도 전체에선 3위라던데요?
돈키: 그렇지. 길이도 길이지만, 강원도 함백산에서 발원해 경북·대구·경남·부산까지, 무려 22개 지자체를 지나가. 영남의 젖줄이자 삶의 물길이지.
호새: 근데 왜 이름이 ‘낙동강’이에요?
돈키: 여러 설이 있지만, 가락국의 동편에 흐른다 해서 ‘낙동’이라 불렀다는 게 유력해. 서편엔 가야가, 동편엔 신라가 있었거든. 옛 가야 여섯 나라가 모두 이 강 유역에 자리했지.
호새: 낙동강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뭐예요?
돈키: 강바람, 낙동강 오리알, 낙동강 전선, 을숙도, 페놀사건, 4대강사업… 많지.
호새: 그 긴 강줄기 따라 천리 수변길이 장관이겠네요.
돈키: 예전엔 안동까지 배가 오갔대. 역사의 강이지. 그 세월 동안 얼마나 많은 사연을 품었겠어.
호새: 요즘 을숙도엔 철새들이 모여든다던데요?
돈키: 철새들만이 아니야. 시인과 화가도 날아들었지. 어부사시사, 어부단가 같은 옛 노래부터 청마 유치환의 “겨레의 어머니여, 낙동강이여”까지. 박정규 화백은 ‘낙동대장강’이라는 80미터 대작을 그렸고, 국제일보 배승원 논설주간은 ‘낙동강 문화–그 원류를 찾아서’라는 기행문을 남겼지. 모두 낙동강이 낳은 예술의 결이야.
호새: 남강, 황강, 백천이 다 흘러든다죠? 우포늪도 그 물줄기라던데요.
돈키: 그래. 늪과 호수가 뒤섞인 천리 물길이 세월 따라 자태를 그려온 거야.
호새: 요즘 각 지자체마다 관광개발로 분주하던데요.
돈키: ‘경전문노’란 말이 있지. 그 고장에 태어나 그곳에 뼈를 묻을 사람들이 지혜를 모아야 해. 나는 낙동강변에 천리 트레킹 코스나 울트라 마라톤길이 조성되면 좋겠어. 강변 솔숲, 버들, 코스모스, 갈대숲길을 따라 걷는 거지.
호새: 을숙도에 철새가 날듯, 철따라 낙동강변엔 매니아들이 날아드는군요. 태백에서 출발해 안동, 대구, 김해, 경주, 부산까지—영남의 ‘강변천리’ 코스네요.
돈키: 그 물길 덕에 18개의 댐이 생겼지만, 수몰된 문화유산이 많아 아쉽지.
호새: 그래도 낙동강이 큰일을 하네요. 김해평야를 만들고, 하구엔 철새를 불러들이고. 부산에서 화성까지 걸으셨다면서요? 이번엔 강원도 발원지부터 따라 걸어요.
돈키: 그 꿈을 꿀 수 있는 것도 낙동강 덕분이야. 6·25 때 낙동강 방어선이 무너지지 않았기에 나라가 지켜졌거든. “낙동강아 잘 있거라, 우리는 전진한다…” 어린 시절 귀에 익은 노래지. 낙동강은 우리 역사를 건진 강이야.
호새: 근데 ‘낙동강 오리알’은 뭐예요?
돈키: 글쎄, 청둥오리한테 물어볼까? 요즘은 그걸 ‘황금오리알’로 바꾸는 게 세상 타짜들이 할 일이겠지. 물이 곧 생명수니까.
호새: 황금거위가 아니라 다행이네요. 분위기 잡혔는데, 시 한 수 읊어봐요.
돈키: 들어봐.
아, 낙동강이여! 땡큐! 월튼 워커 제너럴!
호새: 손에 손잡고, 그 강 따라 걷자구요.
돈키: 봄바람 스치는 강둑에 치마폭 대신 머플러가 날리고, 철새와 노래, 사람이 어우러진 낙동강의 숨결을 느끼며 말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