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청년에게 고함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돈키: 호새야, ‘듣기만 해도 설레는 청춘’이라는 말 들어봤니?
호새: 민태원의 <청춘예찬> 첫 구절이잖아요.
돈키: 맞아. 도산 안창호 선생은 청년의 눈빛만 봐도 그 민족의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했지. 융건릉 주변에 대학이 몇 개나 있는지 아냐?
호새: 글쎄요… 수원대, 협성대, 장안대, 수원과학대, 수원카톨릭대, 수원여자과학대, … 그리고 오산 쪽 한신대, 오산대까지 합치면… 아홉곱 곳이네요.
돈키: 그렇지. 교수와 교직원만 해도 수천 명, 학생은 수만 명이야. 지성과 젊음이 한데 모여 있는 셈이지. 삼성, 현대, 기아 같은 대기업과 산업단지에 근무하는 인력까지 생각하면… 그 에너지는 마그마 같다고 봐야 해.
호새: 그럼 그 에너지를 어떻게 분출하면 좋을까요?
돈키: 정조 시대의 어가 행렬을 떠올려봐. 조직문화, 의상, 음악, 미술, 음식, 문학분야까지… 그야말로 당대의 야외 종합 패션쇼였지. 이런 격조 높은 전통문화의 동적 에너지를 지금 시대에 맞게 살려야 해.
호새: 옥토버페스트나 리우 삼바축제처럼요?
돈키: 비슷하지만… 품격과 내용은 다르지. 애민과 경로, 개혁사상이 담긴 왕과 백성이 함께 하는 이야기라면, 우리만의 그랜드 페스티벌이 될 수 있어. 한양에서 천안까지 이어진 어가 행렬을 현대적으로 각색해, 지자체·기업·대학이 힘을 합쳐 대하드라마처럼 만들면 어때?
호새: 그럼 한류 콘텐츠로도 성장하겠네요.
돈키: 그렇지. 지역대학과 기업이 중심이 되는 시대적 소명이야. 고대왕국의 왕의 행차, 사절단, 유람단, 피난 행렬 같은 아픈 기억까지도 남북통일과 세계를 향한 에너지로 승화시키는 거지. 우리 땅에는 세계 석학들도 높이 평가하는 ‘경로효친’ 사상의 큰 강물이 흐르고 있어. 후예로서 자긍심을 가져야 해.
호새: 그런데 그런 큰 축제, 처음부터 가능할까요?
돈키: 시작은 작게 할 수 있지. 예를 들어 수원대 교정에 수영장과 스케이트장을 열어서, 가족이 함께하는 ‘효’ 실천 캠프장을 운영하는 거야. 아이들과 손잡고 융·건릉을 찾아, 부모와 스승을 존경하고 지역을 사랑하는 청춘을 키우는 거지.
호새: 대학축제도 단순히 노는 게 아니라 지역문화와 어울려야겠네요.
돈키: 맞아.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울려 살아 숨 쉬는 축제로 진화해야 해. 200여 년 전 개혁을 위해 몸부림쳤던 군주의 심정을 떠올려보라구.
호새: 그러니까, ‘대한 청년에게 고함’이라는 글로벌 스피치 축제도 가능하겠네요?
돈키: 바로 그거야, 호새. 청춘의 눈빛에서 미래가 시작되는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