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오피니언

화성에서 띄우는 편지162(12월 27일)

-홍난파 가곡제(2일차 감상3)

 

내고향 홍난파 합창단의 "두리둥실 배 떠나간다" <사공의 노래>(함효영 작사, 홍난파 적곡, 장동인 편곡)가 2부를 열었다. 그대는 뭐하시려오? 배 떠나가는데…

 

 

흰<눈>(김효근 작곡, 강문철 편곡)이 쌓인 "조그만 산길에 내 작은 발자국 남길" 길 떠나련다. "내 작은 마음이 하얗게 물들 때까지" 그 몸부림에 <새날이 오네>(이호준 작사 작곡), 그런 날이 있을까만, <애수의 조선>(홍난파 작곡, 김한기 편곡) 그 세월의 강을 바이올린에 실어 건너가니 "사는게 무언지 하무뭇해 그대 그리워지는 날에~ 꽃으로 서 있을게" 고운 님<마중>(허림작사, 윤학준 작곡, 장동인 편곡)이겠다.

 

 

드디어 귀에 익은 <고향의 봄>(이원수 작사, 홍난파 작곡, 장동인 편곡)! 내 고향의 봄이다.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진달래 울긋불긋 꽃대궐 차린 동네", '화성'이다. 꽃고을 '화성'이니 바람결에 하르르 '꽃동네'에 절로 얼쑤다. 어깨춤에 어찌 제멋의 <새타령>(박희경 작사, 조두남 작곡)이 없으리오. "대붕새에다 봉황새로다. 상사병에 기러기요~ 배띄우는 갈매기니" 온갖 새 날아드니 신명이로세.

 

 

<바위고개>(양명문 작사, 이흥렬 작곡)를 혼자 넘자니 어랑어랑 옛님이 눈물나게 그립고야! 무심코 동그라미 그렸으랴? 젊은날 책상에 엎드려 님의 <얼굴>(심봉석 작사, 신귀복 작곡)그려댄게 무릇 기하뇨? 한번쯤 밟고 싶고 불러 보고픈 <레드카펫>(민서현 작사, 임긍수 작곡)이련만, 깊은 강물이 흐르는 길목에서 "<그대 있음에>(김남조 작사, 김순애 작곡) 삶의 뜻을 배우니 오, 그리움이여 '그대 있음에' 내가 있네".

 

 

뒤틀린 고운(?) 감정골에 쐬주잔을 띄워보자. "쫙쫙 찢어지어 내 몸은 없어질지라도 내 이름만 남아있으리라", <명태>(양명문 작사, 변훈 작곡) 녀석이 제이름을 외쳐대며 허리젖혀 으하하다. 크하, 네 녀석도 술로 이름을 남겼구나!

 

 

오색치마 펄럭이는 <그네>(김말봉 작사 금수현 작곡)에 제비만 놀랐으랴! '이도령'이 홀딱하니 한번 구르랴? 두번을 거듭차야 창공에 붕붕 난다더라. '젊은날의 초상화'려. "비바람 모진 된서리 지나간 자욱마다 맘 아파도" <내맘의 강물>(이수인 작사 작곡) 끝없이 흐르네". 세상 번뇌 시름 잊고 <청산에서 살리라>(김연준 작사, 작곡)던 내마음도 푸르러라.

 

 

상상의 나래에 <나의 조국>(이유식 작사 김한기 작곡)을 태우니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넓은벌 동쪽 끝으로~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 얼룩배기 황소가 해설피~울음을 우는 그곳" <향수>(정지용 작사 김희갑 작곡)에 내 몸이 우는구나.

 

눈을 펴고 듣는다. "누구의 주제런가 맑고 고운 산~ 이제야 자유만민 옷깃 여미며 그 이름 다시 부를 우리 금강산" 장엄한 <그리운 금강산>(작사 한상억 작곡 최영섭)이다.

 

 

두어시간여 맑은 시어의 연주자와 성악가, 지휘자가 어우른 '한국가곡 100년의 노래', 그에 난파선생이 우뚝하다. 자정을 넘겨 귀가하니 사방이 고요하다. 잊지못할 2022년 해넘이다…(끝)

 

최근기사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

섹션별 BE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