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경제

박명균 행정부지사, 중대재해 예방 위한 현장의 목소리 들어

안전장비·노후설비 교체 등 실질적 지원 방안 논의

 

[ 포에버뉴스 사공선 기자 ] 경남도는 15일 도청에서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소규모 기업체 안전관리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명균 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도, 유관기관, 도내 제조업·조선업 협력사·건설업 등 종사자 수 50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체의 안전관리자 등 총 22명이 참석했다.

 

먼저, 박 부지사는 “교통사고에서도 도로 진출입에 대한 자세한 노면표시로 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었다고 분석되고 있다”며, “산업현장 재해 감축에도 현장의 세심한 의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기업 현장에서 겪는 실질적인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유해‧위험 요인 개선을 위한 방안 △작업현장 내 안전문화 정착 필요성 등 현장 중심의 산재 예방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모범 사례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A업체 대표는 “사내 산재사고가 난 이후 사내 안전보건교육시스템을 완전히 개편해 매월 작업자는 2회, 관리자는 1회 이상 철저한 정기 교육을 실시한 이후 사고가 눈에 띄게 줄었다”며 모범 사례를 소개했다.

 

B업체 팀장은 중국산 저가형 특수 장비 유입이 급증하면서 수입 장비의 안전관리 문제를 지적했다. 조선업 협력사인 C업체에는 최근 원청과의 하도급 단가가 낮게 책정되고 있어 재정 상황이 더 어려워져 비용과 직결되는 안전관리 소홀이 우려되므로 원청과의 적정한 단가로 계약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외국인 근로자와의 언어장벽이 존재하므로 시각 자료, 그림 중심 교육·다국어 콘텐츠 보강이 필요하다고 했고, 지게차 등 장비 개선의 비용 부담이 크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참석자들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부주의뿐만 아니라, 대표자의 인식 변화 등 기업체 구성원 모두 인식 전환과 제도적·기술적 개선사항, 현장 맞춤형 교육, 시설개선 지원의 지속적인 확대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도는 앞으로도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민간 전문기관 등과 협력을 강화해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예방정책과 기업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산업재해로부터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도는 올해 산재예방을 위해 △찾아가는 중대재해 예방학교 운영 △외국인 근로자 대상 원어민 통역 교육 △중소 사업장 컨설팅 대상 사업장 범위 확대 △노동안전지킴이단 확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재해예방 컨설팅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장 대상 산재예방 통역앱 비용 지원 △ 산재예방 우수기업 인증 등 종합적인 시책을 추진 중이다.


포토뉴스

더보기

섹션별 BE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