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시용 의원(국민의힘, 김포3)은 지난 14일 제382회 임시회 도시환경위원회 수자원본부, 기후환경에너지국,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의 업무보고에서 도내 약수터 보전 및 사용금지 약수터 재사용 대책과 RE100 정책사업에 대한 분석 평가, 시·군별 자원회수시설 확충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김시용 의원은 자원회수시설과 관련해 “도내 31개 시·군 중 여전히 자원회수시설이 없어 쓰레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곳이 많다”며, “해당 시설이 지역 내 기피시설로 인식되고 민원이 많아 설치가 어려운 점은 이해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최소한 각 지역별로 1개 이상의 자원회수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김포군의원 시절부터 중앙정부와 지자체에 자원회수시설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내년부터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는데도 어느 한 곳도 그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직매립 금지가 시행되는 만큼, 자원회수시설 설치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서라도 각 지역별로 최소 1개 이상의 시설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며, “더 이상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쓰레기 처리 문제를 미루지 않고, 이 문제를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시용 의원은 도내 약수터 시설에 대해 “매년 지속적으로 폐쇄되거나 사라지고 있다”며, “도시 개발 등으로 인해 자연이 훼손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가능한 한 약수터를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김포시의 경우 약수터 7곳 중 단 2곳만 운영되고 있고, 다른 지역도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자원본부가 중심이 되어 31개 시·군과 협력해 도민들이 깨끗한 약수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의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김동연 지사의 중점 공약인 RE100 정책과 관련해 “지사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책이 환경적으로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분석이나 평가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일부에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려면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정책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RE100의 효과 분석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며, “하루 빨리 보건환경연구원, 경기연구원 등과 협력해 효과성 분석 연구를 적극 추진해 줄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