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바람고개 시인/영화감독 돈키: 오늘은 충청도 영동군과 경북 김천시의 경계, 바로 추풍령에 갈 거야. 호새: 단양, 충주… 그 앞동네들은 건너뛰고 먼 데부터 가시네요? 돈키: 응. 예전 부산역에서 화성까지 걸어오던 길, 이 고개에 닿았을 때였지. 지친 몸을 잠시 쉬려는데 마을 어귀 아주머니가 찐옥수수를 내주셔서 허기를 면했어. 그 따뜻한 마음자락을 아직도 잊지 못해. 이름도 멋지잖아, ‘가을바람고개’. 인생의 고갯마루에 서면, 이런 이름의 바람이 어울리지 않겠니? 호새: 먼 산 바라보며 한숨 내쉴 때, 이미 알아봤시유. 단단히 바람 맞으셨구먼요? 돈키: 인마, 봄바람 불어? 가을 낙엽 휘날리는데 무슨 소리야? 호새: 춤바람이 꼭 봄에만 나남유? 이 계절엔 ‘가을연가’가 어울리지요. 돈키: 이놈, 허파에 바람이 잔뜩 들었구나. 호새: 주인님 눈빛만 봐도 알지요. ‘바람’이란 게 참 묘하대요. 눈에 보이진 않지만 세상을 움직이잖아요. 봄엔 강아지 꼬리처럼 살랑살랑, 여름엔 매미처럼 들끓고, 가을엔 소슬바람으로 마음을 흔들고, 겨울엔 눈꽃송이 퀵서비스 보내듯 싸늘하니…. 도무지 알다가도 모를 놈이에요. 돈키: 인간의 삶은 지수화풍(地水火風)과 더불어 노니는 거야
양반동네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충청도로 넘어 가유~. 이곳에 오니 볼 것도 많네. 추풍령, 충주호, 탄금대, 중앙탑, 낙화암, 백마강, 현충사, 계룡산, 천리포, 속리산… 헐떡헐떡~” 돈키: “임마, 서수남 하청일 노래 ‘팔도유람’ 부르냐? 바람도 쉬어가는 추풍령, ‘얼룩백이 황소’가 우는 냇가도 건너보고, ‘이리가면 경상도길 저리가면 전라도길’ 그 한밭(대전)에도 가보자구.” 호새: “언제는 서두르시더니 왠일이래요?” 돈키: “그때 그때 다른 겨. 요즘은 말씨도 멀티로 구사해야 되는 겨.” 호새: “워매, 인자 말씨도 사투리를 섞어 불었소. 정신줄 놓아 능교?” 돈키: “이즘엔 그래야 산다잔여.” 호새: “충청도 오니 양반걸음 하시는 갑소?” 돈키: “양반? 하기사 충청양반이 유세를 하지. 근데 이즘엔 그런 양반 격이 많이 떨어진 듯 해. 그래도 ‘양반은 얼어 죽어도 곁불은 쬐지 않는다’는 체면과 절개가 선비정신의 뿌리인거야.” 돈키(계속): “조선의 선비들은 ‘이(理)’로 ‘기(氣)’를 다스리며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도를 따랐어. 그게 바로 유교적 선비정신이야 호새: “이즘에도 그런 공자, 석가, 예수님 말씀처럼 인덕과 자비, 사랑이 실천이 필
친구 징구에게 징구야, 이제 우리도 어느덧 ‘공식 노인’의 문턱 앞에 선 것 같구나. 단순히 나이 든다는 뜻만은 아닐 거야. 삶의 흔적과 무게가 마음 한구석에 내려앉는 그런 변화 말이다. 법으로 노인이라 인정받는 나이는 만 65세라지. 돌아보면 우리 부모님, 조부모님께서 농사짓던 그 시절이었을 것이다. 이제 그 나이에 다다른 내가, 문득 그분들의 자리에 있는 듯한 착각이 들며 “아… 나도 그렇게 늙었구나” 싶어지는구나. 청춘의 한 복판이 바로 어제 같고, 캠퍼스에서 뛰놀던 우리 모습이 생생한데 이제 남은 시간이 10년, 20년이라는 생각이 들면 시간이란 녀석 참 야속하고 빠르다. 징구야, 세상은 많이 변했지. 우리는 부모 모시고, 자식 키우며 그저 앞만 보고 달려왔던 세대다. 그런데 요즘엔 노인이 병마와 친구가 되고, 아직도 자식이 돌봐야 존중받는 시대라니. 이제는 삶의 뒷날마저 국가와 사회에 기대어야 할 세상이 되었다. 스스로 버티고 책임져야 할 숙제가 하나 늘었지. 연탄불에 삼겹살 구워 놓고 소주 한 잔 기울이던 그 선배님의 말씀이 떠오른다. “부모가 자식을 키우는 건, 나이 들어 힘들고 버거울 때 효도받기 위해서다.” 유교적 정(情)이 살아 있던 사회에
오죽화(烏竹花)를 그리며 시인 / 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강원도 소풍이 끝나 충청도로 넘어가네요. 내일이 한가위라니, 보름달이 뜨면 좋겠어요. 바닷가 모래밭에도, 오죽헌 대숲에도 은빛 달빛이 고요히 번질 테죠. 돈키: 그래, 보름달이 떠서 마음이라도 환히 밝아지면 좋겠어. 검은 대에 피는 하얀 꽃, 오죽화처럼 세상일도 순한 마음으로 서로를 비추면 얼마나 좋을까. 호새: 멀리 떨어진 벗들도, 오늘 밤 달빛 아래선 다 함께겠죠? 돈키: 그렇지. 오늘은 말보다 마음으로 인사를 전하는 날이야. 지난 날 강릉의 밤, 벗들과 송이주 한잔 나누던 그 정을 달빛에 띄워 보내볼까. 〈오죽화(烏竹花)를 그리며〉 여섯마디 발길들 오고감에 분별 있으리 팔도 벗님네들 아침 햇살에 선연하다 철수와 영희도 반기네 갈매기 날으는 백사장 한잔 송이주 마셔보세 대관령 옛길에 들어서니 낙엽처럼 순결한 마음 달빛에 오죽화가 피겠네 호새: 송이주 맛이 어때요? 동기들과 달을 바라보며 이태백이 처럼 한시름 달래랬나요? (與爾同銷萬古愁-장진주사) 돈키: 맞아. 달이 차면 마음도 가득 차는 법이지. 우리의 갈길이 달라도, 한가위 달빛 아래선 한 마음인거야. 호새: 다음 다시 올 땐 꼭 송이주 한잔 해
죽장에 삿갓 쓰고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맹맹하니 두어 곡 뽑아봐요. 돈키: 좋지. “죽장에 삿갓 쓰고 방랑 삼천리…” “…미스김도 잘 있어요, 미스리도 안녕히~…” 호새: 지난번 <전원일기>에도 인용된 노래 말 같아요. “붓펜에 배낭 메고 유람 삼천리…” “…경포대도 잘 있어요, 정동진도 안녕히~” 이렇게 개사하면 괜찮겠네요? 돈키: 허허, 김삿갓 아니더냐. 그 삿갓은 단순한 차림이 아니라, 사람이 지닌 본성-양심의 상징이야. 술 한잔에 시 한 수 읊으며 세상을 유랑하던 시인, 오늘 그 자취를 따라 영월에 온거야. 이곳은 단종의 애사(哀史)가 깃든 청령포와 장릉이 있는 고장이야. 그 비감 속에서도 난고 선생의 해학은 바람처럼 웃음을 남기지. 호새: 듣자니, 몇 마디로 사람 마음을 풍선처럼 부풀려 웃게 하는 재주가 있었다면서요? 돈키: 그건 재주라기보다 성품에 공부를 얹은 거야.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 힘들면 헛웃음이 나오는 법이지. 참된 웃음은 진심의 여백에서 피어난단다. 그분의 해학은 서민의 눈물 위에 핀 웃음꽃이었어. 호새: 그럼, 김형곤이도 그런 계보인가요? 돈키: 갑자기 웬 김형곤이야? 허허. 그렇구만. 그도 ‘공포의 삼겹살’
한가위, 부모의 마음을 생각하다 글 송용호 “자식은 부모가 세상을 떠나면 땅에 묻고, 부모는 자식을 가슴에 묻는다.” 누구나 아는 말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이 말의 무게가 깊게 느껴진다. 우리 집은 대대로 제사를 중시해온 유교 전통의 가풍을 지켜왔다. 그 중심에는 엄격하셨던 아버지가 계셨다. 나는 한때 성당에서 세례를 받고 신앙의 길에 들어서려 했지만, 명절날 아버지는 단호히 말씀하셨다. “집안의 장자인 너만큼은 종교의 자유가 없다. 제사를 모셔야 한다.” 그 말에 나는 신앙의 자유도 내려놓을 수밖에 없었다. 세월이 흘러 아버지는 돌아가셨고, 지금은 집사람이 홀로 차례상을 준비한다. 장을 보고, 김치를 담그고, 음식을 장만하는 그 고단함을 곁에서 지켜보면 미안하고 고맙다. 요즘은 많은 집에서 명절을 간소화하거나 가족여행으로 대체하지만, 우리 집은 여전히 전통을 지킨다. 팔월 한가위는 가을 한가운데,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시기다. 그 풍성함 속에서 조상님께 감사드리고, 가족이 함께 웃는 시간이야말로 삶의 큰 축복이다. 나는 한때 줄기세포 기반 이종장기이식 기업을 운영하며 생명의 연장 가능성을 좇았다. 하지만 결국 인간의 삶은 유한하며, 하루하루를 감사히 살아가는
아리랑 고개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고갯길 오르니 산내음이 좋네요. 노래 한 곡조 뽑으시죠. 돈키: 좋지. 노래란 게 별거냐. 힘들어도 부르고, 슬퍼도 부르는 게 노래지. 산길에선 산노래가 제격이지. (조용히 흥얼거리며) “산에 산에 꽃이 피네, 들에 들에 꽃이 피네…” 호새: 그거 ‘산유화’잖아요? 돈키: 그래, 여러 이들이 작사하고 노래했지. 동산에 올라 휘파람 불며 부르면 참 좋아. 호새: 여긴 정선의 산고개잖아요. 뭐가 어울릴까요? 돈키: 글쎄, 뭘 부를까? 호새: 인생의 단맛 쓴맛 다 보고, 장터에서 곤드레밥도 먹었으니 ‘정선아리랑’이 딱이지요. 돈키: 아리랑! 좋지. 고개 오르기 전, 흥 좀 돋워볼까나. 호새: 그런데요, 밀양·진도 등 수많은 버전이 있다던데, 왜 그렇게 많을까요? 돈키: 부르는 사람과 시대마다 삶이 달랐으니 자연히 곡조와 말맛이 달라진 거지. 사랑과 애환, 노동과 정서가 배어 있는 게 아리랑이야. 그래서 세월을 건너도 통하지. 정선아리랑은 고려 때부터 전해왔다 하잖아. 작자 미상의 노래가 천년 세월을 버텼으니, 그게 바로 민족의 숨결이지. 호새: 부르면 좋고, 울면 위로되고, 춤추면 흥이 나는 노래네요. 돈키: 그렇지. 아리
한가위 추석에 비가오면 달님도 숨바꼭질 고향 길 질척이는 아스팔트 낮빛처럼 그리움 적시우는 수수닢 너풀거림도 산마루 넘어 오는 땅거미 드리워지면 손주들 보고픔만 도랑지어 흘러가듯 들녘에 세워져 있는 허수아비 옷자락 너풀거리는 춤사위도 멈추어진 비 내리는명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