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오피니언

화성에서 띄우는 편지344(3월 22일)

네 이놈

 

네 이놈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어린시절 한번쯤은 들었을 고함이다. 글제가 제맛이 나려면 ‘게 섯거라’를 이어야 제격이다. 참외서리를 할라치면 저만치에서 들려오는 밭주인의 목소리가 아니던가?


주말 일과처럼 돼버린 서울로 발길이다. 가파른 세태에도 아랑곳 없이 길가에 몽실한 개나리 꽃망울이 눈길에 들어 ‘나리 나리 개나리…”가 절로다. 세류천변 연녹색 잎새의 수양버들 가지도 치렁치렁 제멋으로 바람결에 나붓대니 정녕 봄인게다. 빼앗긴 맘에도 봄이 오는가?


시청역에 도착하니 하나, 두울, 세엣,... 펄럭이는 ‘구국동지회’의 하늘색 깃발에 이어서 반가운 얼굴들이다. 군 울을 29년전에 떠났건만, 위중한 시국에 내 안에 양심을 붙안고 선후배들간 충성! 충성! 거수경례로 인사를 나누며, 서로 의지한 채 거리로 나선지 벌써 몇해 이던가? 그 얼마나 외쳤던가? 쉼 없이 달려 온 마라토너처럼, 이제 서서히 골인지점에 다다른다 싶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인지라 어서 ‘봄비’ 내려 자유대한에 생기가 돌면 좋으련만…


생뚱맞게 오리타령 좀 해야겠다. ‘동의보감’엔 오리는 몸을 보하는 먹거리로 등장하는데 ‘탐관오리’는 어떠려나? 쇠오리, 청둥오리, 가창오리, ...수십여종에 달하는 오리건만 아무리 조류도감을 뒤적여도 ‘탐관오리’는 띄지 않는다. 단지, 비켜 든 역사서에 사철 백성을 훑어대고 나라를 망치는 분(?)들로 묘사되어 있을 뿐이다. 이조시대엔 이들을 징치하기 위해 왕의 특명을 받는 암행어사제가 있기에, 옛 얘기보따리를 풀면 등장하는 ‘마패’와 ‘어사출두야’ 내닫는 함성에 통쾌한 맛이 있었다.


며칠전부터 집근처 황구지천 둑방에 오리들이 늘어섰다. 이상스레 여느 때와 달리 한마리도 냇물에서 노니질 않고 물밖에 나와 있는 것이다. 물가에 비상경계령이라도 내렸나? 견강부회려나?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동안 ‘탐관오리(?)’들이 거리에 내다 건 찌질한 현수막들도 다시 줄줄이 나붙었다. 완장부대에도 비상경계령이 내렸나보다. 헌데, 줄줄이 ‘기각’이니 그간 국민을 불안하게 한 손해배상 요구가 필연 따를 게다.

 

철새도 아닌 ‘탐관오리’들은 뻥튀기 완장찬 나라 망치는 텃새들인지라, 밭주인, 뭇 시민들이 수년간 나선 게다. 자유대한의 진정한 주인으로서 ‘마패와 육모방망이’를 대체해 ‘태극기’ 들고 ‘네 이놈들, 게 섯거라’ ‘저놈들 잡아라’ 외치는 게다.


손에 손잡고 시가를 행진하고, 밤을 지새우며 봄비를 기다리는 작은 애국시민들이다. 결기로 함께 하는 발길들, 손길들에게 축복이 있을지니…

 


포토뉴스

더보기

섹션별 BE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