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강관리협회 인천광역시지부 건강하고 안전한 추석 연휴 위한 ‘온 가족 건강 지키미’ 수칙

  • 등록 2025.10.02 09:30:18
크게보기

최장 10일 긴 연휴... 과식·피로·응급 상황 주의, 만성질환자는 특별 관리 필요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앞두고 있다. 긴 귀성·귀경길 운전, 과식을 유발하는 명절 음식, 그리고 집중적인 가사 노동 등은 신체에 예상치 못한 부담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KH한국건강관리협회 인천지부 홍은희원장은 "긴 연휴에는 평소와 다른 식습관과 생활 리듬이 깨지기 쉬운 환경 때문에 오히려 건강 관리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라며 “특히, 이번 연휴는 기간이 긴 만큼 만성질환자들은 평소의 식습관과 약 복용을 철저히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당부했다.

 

▲ 연휴 식습관 관리: 과식 및 고칼로리 경계, 만성질환자 특히 신경 써야

명절 음식은 대개 고열량, 고지방, 고나트륨인 경우가 많아 체중 증가는 물론 혈당 및 혈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연휴 기간이라도 평상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명절 음식은 가급적 저칼로리 조리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기름을 많이 쓰는 전이나 튀김 대신 찌거나 굽는 방식으로 기름 사용을 최소화하고, 나물은 볶기보다 무침으로 조리해 열량을 줄인다. 또한, 갈비찜 등 육류 음식은 조리 전 지방을 최대한 걷어낸다. 식사 시에는 나물, 채소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먼저 섭취하면 포만감을 높이고 탄수화물 흡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아울러 대화하며 천천히 먹는 습관 역시 과식을 막는 데 중요하다.

 

특히 당뇨 환자는 떡, 한과 등 고탄수화물 식품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또한, 고혈압 환자는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조리된 음식을 선택하는 등 만성질환자들은 명절 기간 내 혈당과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 야외 및 실내 응급 대처: 벌레 물림, 벌 쏘임, 응급 상황 대처법 숙지

성묘나 벌초 등 야외 활동 시에는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벌레 물림 및 발열성 질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 활동 시 긴소매, 긴 바지, 양말을 착용하고 해충 기피제를 사용하며, 풀밭에 함부로 눕거나 앉지 않도록 한다.

 

벌 쏘임 사고도 흔히 발생한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추석 연휴에만 총 1,474명이 벌 쏘임으로 119 구급대로 이송됐다. 벌이 나타나면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신속히 자리를 피해야 한다. 벌에 쏘였다면 신용카드 등 얇고 넓은 도구로 벌침을 긁어 제거하고 얼음찜질을 해준다. 만약 입술, 혀, 목젖이 붓거나 호흡곤란, 구토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음식 준비 중 칼에 베거나 화상을 입는 사고도 빈번하다. 이때는 상처 부위를 깨끗한 물로 씻고 거즈 등으로 가볍게 감싼 후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상처에 민간요법을 적용할 경우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절대 삼가야 한다.

 

▲명절증후군 예방: 가사 분담, 충분한 휴식 필수

명절 기간 동안 장시간 이동과 무리한 가사 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두통, 요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는 이른바 ‘명절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명절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들이 가사 노동을 분담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긴 연휴 동안 음식 준비와 상차림을 반복하며 손목, 어깨, 허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틈틈이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해 근육과 관절의 무리를 줄여야 한다. 또한, 장거리 운전 시에는 한 자세로 오래 있으면 척추와 관절에 무리가 오기 쉽다. 중간중간 휴게소에 들러 스트레칭을 해 척추와 관절을 충분히 풀어줘야 한다.

 

명절 기간 중 응급 상황 발생에 대처할 수 있도록 비상 연락망과 의료 정보를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다. 응급 의료 문의는 보건복지부 콜센터(129), 구급상황관리센터(119), 시도 콜센터(120))에 전화하면 된다. 응급의료포털을 통해서도 연휴 기간 문을 여는 병의원 및 약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KH한국건강관리협회 인천지부 홍은희원장은 “조리 후 남은 음식은 실온에 오래 두지 말고 밀봉 후 냉장 보관하며, 섭취 전 반드시 다시 가열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라며 “연휴 동안 늦은 취침과 늦잠을 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수면 피로를 유발해 명절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평상시 수면 패턴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경순 기자 forevernews7@naver.com
Copyright @2020 포에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로 432, 2층 202호(평동)| 대표전화 : 010-2023-1676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경순 등록번호 : 경기, 아 52599 | 등록일 : 2020.07.09 | 발행인 : 김경순 | 편집인 : 홍순권 포에버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2020 포에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forevernews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