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소나타34>-동두천

  • 등록 2025.09.09 10:15:03
크게보기

소요유(逍遙遊)

 

소요유(逍遙遊)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오늘은 또 어디로 가시려구요?

돈키: 동두천이야. 이름만 들어도 뭔가 낯설지? 백두산의 백두는 아니고, 산자락에 기대 선 동네지. 떠오르는 게 뭔가? 소요산 단풍, 미군부대… 그리고 휴전선 냄새가 좀 비릿하게 밴 곳이야.

호새: 오, 묘하게 긴장감이 느껴지는 곳이네요.

돈키: 그렇지. 근데 오늘은 심각한 일이 아니라 전·시장·군수협의회 모임이야. 동두천시청에서 열린다 해서 아침 일찍 길을 나섰지. 차로는 두 시간, 전철로는 쉰 정거장 넘으니 세 시간이야.

호새: 아이고, 긴시간 동안 뭘 하시려구요?

돈키: 독서삼매경이지 뭐. 과학책 하나 꺼내 읽어야지, 아인슈타인이 그러더군.
“자연의 가장 아름다운 선물은 이해하려 애쓰는 그 과정에서 생겨나는 기쁨이다.”
말이 근사하지 않냐?

호새: 와~ 그러니까 호기심이 많을수록 인생이 재미난 거네요.

돈키: 딱 그거다. 느려도 좋으니, 알쏭달쏭한 거 파고들다 보면 세상 보는 눈이 트이는 거지.

호새: 시청사가 참 단정하네요.

돈키: 시청사가 사치스럽진 않으면서도 기품은 있고, 자료를 살피니 축제며 각종 시설과 아트거리. 힐링코스를 알차게 꾸려놨어.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더니 사철 볼거리에 먹거리가 딱 어울려.

호새: 시정설명이 진지한 것 같네요?

돈키: 음, 총무팀장과 시장께서 일자리, 교육, 노인복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조용히 설명하잖아. 거기에 미군부대 문제는 아주 큰 숙제고 말이지.

호새: 뭐니해도 동두천하면 소요산 아닌가요. 장자도 말했잖아요, ‘소요유’라고.

돈키: 맞아. 들추니 옛적에 화담 서경덕, 봉래 양사언, 매월당 김시습까지 소요산에서 노닐었다네. 곧 단풍이 들면 수도권에 제일로 꼽힐 산이야. 그때 다시 오자고. 푸른 잎이 붉게 바뀌는 걸 보면, 인생도 그렇구나 싶고, 자연이 스승이다 싶어. 순환의 질서를 일러 깨우잖아

호새: 붕새가 하늘을 훨훨 날며 “얘들아, 괜히 시비하지 말고 집착하지 말고, 자연처럼 살아라~” 하고 일러줄 것 같나보죠?

돈키: 허허, 네 말이 싯구 같네. 게다가 동두천은 서구 록 음악 발상지라니, 소요산에 락 페스티벌이 열리면 신명날거야. 70년 허리통증 같은 분단의 고통도 잠시나마 풀리지 않겠어?

호새: 그러면 뭐 그리 큰 결심 필요 없네요. 그냥 발길 닿는 대로 가볍게 오면 되겠어요.

돈키: 그럼, 큰 것도 아닌 아주 작은 발걸음 하나면 돼. 이 가을, 푸른 하늘 아래 붕새의 날개짓을 함께 보러 오자꾸나.
 

 

김경순 기자 forevernews7@naver.com
Copyright @2020 포에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로 432, 2층 202호(평동)| 대표전화 : 010-2023-1676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경순 등록번호 : 경기, 아 52599 | 등록일 : 2020.07.09 | 발행인 : 김경순 | 편집인 : 홍순권 포에버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2020 포에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forevernews7@naver.com